2022. 7. 13. 09:26ㆍServer의 세계/Oracle 관리실무
오라클 10g 이전 버전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은 크게 2가지, File System 방식과 Raw Device방식으로 나눠졌다.
- File System 방식(FS 방식) : 0S를 통하여 관리하는 File System 방식
장점 : 사용자가 관리하기 쉽다.
단점 : OS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 Raw Device 방식: Oracle에서 직접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장점: 파일시스템에 성능이 좋다.
단점: 관리하기가 어렵고 불편하다.
그래서 오라클 10g부터 이 두 방식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별도의 관리방법을 개발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Automatic Storage Management, ASM 방식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File System방식과 비슷해보일 수 있으나 ASM 방식은 오라클에서 직접 파일들이 저장되는 Storage를 관리하는 방ㅅ힉이기 때문에 오라클 환경에서 ASM이 훨씬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ASM의 주요 특징
(1) 효율적인 디스크 관리
디스크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ASM 방식은 오라클이 데이터베이스 중단 없이 자동으로 디스크 추가 후 파일이동 혹은 재배치 작업을 해준다. 즉, 관리자가 ASM 디스크 그룹에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하거나 제거하기만 하면 나머지 작업은 ASM에서 자동으로 Rebalancing 작업을 해준다. 디스크 그룹을 생성할 때 rebalance power n(숫자)로 설정가능하다.
(2) 디스크 i/o 의 효과적 분산
ASM 방식은 AU(Allocation Unit 이라는 단위로 나누어서 서로 다른 디스크에 균등하게 분산시켜 저장을 하게 된다. 그래서 기존 RAID 방식의 Striping 은 디스크 튜닝이 아주 중요했으나 ASM방식은 AU 단위로 자동 관리해주기 때문에 디스크 i/o 성능이 향상되었고, 디스크 튜닝이 거의 필요가 없다.
(3) 비용절감
RAID 장비를 별도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추가 구입 비용 없이 디스크 장애 대비 디스크 i/o 분산을 통한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4) VLDB 지원(11g)
(ASM Mirroring 사용하지 않을 경우) 11g 기준 140Peta Byte까지 지원한다.
대표적인 ASM 구조인 Single Instance 의 경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그림의 경우는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되어 있는 여러개의 데이터베이스들이 ASM 인스턴스를 통해 Storage에 접속해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케이스다. 이 경우 Muti-instance 라고도 하는데 해당 인스턴스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으로 add 하겠다.
'Server의 세계 > Oracle 관리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Image Copy와 Backup Set (0) | 2022.07.20 |
---|---|
[Oracle] RMAN의 개념과 명령어 이해 (0) | 2022.07.20 |
[Oracle] 초기화 파라미터 파일(Parameter file/Spfile/Pfile) (0) | 2022.07.20 |
[Oracle] Archivelog(Oracle Archive Mode) 확인 / 활성화 시키기 (0) | 2022.07.12 |
Undo 관련 에러와 관련 parameter(feat.ORA-01555)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