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의 세계(23)
-
hugepages 개념과 설정 방법
hugepage 개념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물리적 메모리 크기를 극복하기 위해 가상메모리 기법을 사용 (가상메모리 기법을 통해 물리 메모리보다 더 큰 메모리가 필요한 에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가상 메모리 주소를 물리적 메모리 주소로 변환해주는 것이 MMU(Memory Management Unit) 이고 물리적으로 MMU는 CPU 내부에 있다.) -MMU 내부에 Page Table과 TLB가 있다. CPU는 TLB -> Page table 순서로 찾게 된다. -리눅스 시스템의 경우 보통 4k로 되어있으며 대용량 메모리를 장착한 시스템의 효율적인 Page Table 관리를 위해 Kernel 2.6부터는 HugePage 기술이 도입되어 더 큰 Page 크기(예 : 2M ~ 256M)로 관리 할 수..
2024.02.22 -
. oraenv 사용법
수동으로 export ORACLE_HOME=~~~/~~~/~~~ 으로 입력해서 환경변수들을 다 고치지 않아도, . oraenv 입력한 뒤 , SID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값들이 변환된다. 여러 번 반복적인 export 작업을 해야할 때, 해당 명령어를 쓰면 유용할 것 같다. 실험 db : 2node DB in RAC mode 1. sql에 접속하여 select instance from v$thread;를 입력하여 sid를 확인한다. 2. sqlplus를 종료한 뒤 커맨드 창에서 vi /etc/oratab 명령어를 입력한다. 3. 그리고 가장 하단에 다음의 형식으로 입력한다. database_sid:oracle_home_dir:Y|N -database_sid 서버에 있는 Oracle 인스턴스의 시스템 ID(..
2022.11.03 -
Clock Synchronization (Feat.Observer mode, CTSS daemon)
Oracle Installer 진행시 Clock Synchronization이란 항목을 마주하게 되었다. 하단에 detail을 눌러주면 다음과 같은 prvg-**와 ACTION이 나오는데, PRVG-9664에 따르면 Action: 모든 노드에 CTSS service를 멈추고 재시작 한다. NTP가 모든 모드에 구성되어 있거나 아예 구성되지 않거나 해야한다. 고 한다. 오라클 공식사이트의 내용에 따르면 cluster nodes 간 Time Synchronization하는 방법 세가지가 있다. 1. Windows Time service 2. An operating system configured network time protocol (NTP) 3. Oracle Cluster Time Synchronizat..
2022.09.28 -
LVM 정리, oracleasm disks 구성 간단 정리, partition 확인
오라클 설치시 LVM관련 설정을 진행하게 된다. LVM은 Logical Volume Management의 줄임말로, 여러 개의 HDD의 용량을 합쳐서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서버운영에 있어서 작은 용량의 HDD를 하나로 합쳐 대용량의 스토리지를 구성할 때 사용하기 때문에 LVM 으로 인해 스토리지 확장 및 변경 사항에 있어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결국, LVM(Logical Volume Management)을 사용하는 이유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면서 용량을 다 쓰게 되면 아예 더 큰 용량의 하드디스크로 교체해야 하지만, LVM을 이용한다면 유동적으로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LVM에 나오는 용어정리 Physical Volume: 물리적 볼륨을 말하며, /dev/sdb1, /dev..
2022.09.26 -
[RAC 구조] Public IP/ Private IP/ Scan IP
RAC 설치시 필요 IP Public IP : 외부에서 클라이언트의 node 접속을 위한 ip Private IP(Inter Connect) : node간 연결(정보 이동)을 위한 ip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이 아닌 crs가 노드끼리 통신하는데 사용한다. virtual IP :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가상의 IP로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 클러스트웨어는 연결된 노드 중 하나가 죽으면 그 노드의 VIP를 다른 노드에 그 IP를 추가시켜 그 IP로 계속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옮겨지는 IP가 VIP이다 Scan IP : 사용자를 instance에 분산하여 분배하기 위해 필요한 ip(scan ip를 통해오는 접속을 CRS가 로드밸런싱 해준다.) OCR File과 Voting Disk OCR(Oracle..
2022.08.16 -
[Linux] .bash_profile 위치 찾기(find 명령어/히든 파일 위치 찾기)
find는 파일을 찾을 때 쓰는 명령어로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find [-H] [-L] [-P] [-Olevel] [-D help|tree|search|stat|rates|opt|exec] [path...] [expression] 옵션 H :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으나, Command Line Argument를 처리할 땐 예외. L : 심볼릭 링크에 연결된 파일 정보 사용. P :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고, 심볼릭 링크 자체 정보 사용. D : 디버그 메시지 출력. expression name : 해당 이름의 파일을 찾음. 해당 이름에는 정규 표현식을 활용할 수 있음 type : 지정된 파일 타입에 해당하는 파일 검색 user : 해당 유저에게 속한 파일 검색 empty : 빈 디렉토리 혹은..
20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