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짧고 굵게 리눅스 명령어 master하기

2022. 8. 2. 14:09Server의 세계/Linux & Unix

여기있는 명령어만 알아도 리눅스 아는 척 할 수 있다!!!!!!!!!!!!


파일 시스템 탐색을 위한 리눅스 명령어

1. pwd

Print Work Directory의 약자이며, 현재 작업 중인 디텍토리를 보여준다. 즉 현재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디렉토리를 보여준다.

2. ls

ls는 list segments의 약자이며, 주로 all의 약자인 al과 함께 ls -al으로 많이 쓰인다. 

3. mkdir 디렉토리명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한다.(리눅스의 디렉토리는 윈도우의 폴더와 같은 개념)

test1, test2, test3라는 이름의 디렉토리를 생성한 후 확인

4. rmdir 디렉토리명

remove directory의 약자로 빈 디렉토리를 삭제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며, 삭제하려는 디렉토리가 비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삭제할 수 없다.

5. cd 디렉토리명

디렉토리를 이동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 cd [디렉토리 경로] : 이동하려는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현재 디렉토리
  • cd .. : 한 단계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 cd $변수명 : 변수에 저장된 경로로 이동
  • cd $HOME : (지정해 놓은) 홈 디렉토리로 이동 ( path 설정은 .bash_profile 에서 확인)


시스템 조작을 위한 리눅스 명령어

1. uname

이름, 버전 및 기타 시스템 특정 세부 사항과 같은 시스템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다.

옵션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얻을 수 있다.

  • -a, –all:모든 시스템 정보를 출력.
  • -s, –kernel-name:s 옵션은 커널 이름을 출력.
  • -n, –nodename:네트워크 호스트네임을 출력.
  • -r, –kernel-releaser 옵션은 커널의 릴리스 버전을 출력.
  • -v, –kernel-version커널 버전을 출력.
  • -m, –machinem 옵션은 시스템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출력.
  • -p, –processor프로세서 타입을 출력. 확인할 수 없는 경우 “unknown”을 출력.
  • -i, –hardware-platform하드웨어 플랫폼 정보를 출력. 확인할 수 없는 경우 “unknown”을 출력.
  • -o, –operating-systemo 옵션은 운영체제 이름을 출력.

2. ps

 process Status의 약어를 이름으로 사용한 ps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구동 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가장 많이 쓰이는 명령어 옵션은 ps -ef 다.

-e : 현재 사용자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이 구동시킨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즉, -e 옵션 없으면 ps 명령어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만 나타남)

-f : 보다 상세한 정보를 보여줌.(Full format)

-l : -f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보여준다.(Long format)

3. shutdown

 halt, init과 함께 시스템을 종료하는 명령어다. 현재 접속 중인 모든 사용자에게 시스템이 종료된다는 메세지를 보낼 수 있다. shutdown의 옵션마다 현재 접속자에 대한 처리가 다른다. 이는 나중에 따로 정리할 예정이다.

 

4. touch 파일명

mkdir이 디렉토리 생성이라면 touch는 빈 파일 생성 명령어다.

5. head

파일 또는 데이터의 시작을 볼 수 있다. 텍스트 처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Linux 명령 중 하나다.

head -3 파일명 하면 해당 파일 3줄을 볼 수 있다.

6. tail

head가 앞부분을 본다면 tail은 파일 또는 데이터의 마지막행을 기준으로 파일 내용 일부를 볼 수 있다. 

7. cp

copy의 약어이며, 시스템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한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복사하도록 지시한다.

8. mv

move의 줄임말로 GUI에서 수행하는 절단 작업을 보완한다. 윈도우의 잘라내기 명령어와 같은 개념이다.


명령어 검색 및 정규 표현식

1. grep

grep [옵션][패턴][파일명] 

여러개의 문자열을 충족하는 (and 형) 문장을 찾을 수도 있다.

2. which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명령어 실행 파일(또는 링크)의 위치를 알수 있다.


I/O 및 소유권을 다루는 리눅스 명령어

1.clear

clear 명령은 기존 터미널 화면을 지우는데 편리하다.

 

2. echo

echo [option][string]

터미널 콘솔에 특정 텍스트나 문자열을 보여준다.

3. chmod

시스템 파일 또는 객체의 액세스 권한을 변경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다. 루트 권한이 필요하다.

4. chown

사용자가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변경할 수 있다. 루트 권한이 필요하다.


 

D.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