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5. 09:21ㆍServer의 세계/Oracle 관리실무
지금은 익숙하지만 처음에 서버를 접하면서 의미가 낯설게 느껴졌던 단어를 몇가지 정리해보겠다.
경영학도였던 나에게 해당 단어를 업무에 녹여 이해하는 것이 처음엔 잘 안됬다. 예를 들어 당장 node만해도 매듭 혹은 마디 느낌으로 알고 살아왔기 때문에 위키에서 네트워크에서의 구상도를 찾아본 다음에야 node를 이해 할 수 있었다.
지금 용어들은 Engineering 관점이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상용되는 의미와는 다소 거리가 있을 수 있다.
1. Redundancy
In engineering, redundancy is the duplication of critical components or functions of a system with the intention of increasing reliability of the system, usually in the form of a backup or fail-safe, or to improve actual system performance, such as in the case of GNSS receivers, or multi-threaded computer processing.
Redundancy는 시스템 장애상황을 대비해서 중요한 시스템 구성요소를 복제하는것. 운영기 장애를 대비해서 운영기 노드 두대를 운영하는것은 Redundancy 라고 할 수 있다. 즉 "이중화" 의미로 redundancy를 많이쓴다. 찾아보면서 알게 된 것은 비슷한 의미인 Replication은 프로그래밍에서 쓰이는 언어이며, 복제된(Redundant) 리소스의 data가 같도록 데이터를 공유 하는것이라고 한다. 사전적 의미로는 둘다 복제라는 뜻을 갖지만 결론적으로는 다른 단어이다.
오라클에서는 Normal redundancy 구성과 삼중화 구성인 High redundancy 등으로 단어가 쓰인다.
2. consolidation
Server consolidation refers to the use of a physical server to accommodate one or more server applications or user instances. Server consolidation makes it possible to share a server’s compute resources among multiple applications and services simultaneously. It is mainly used to reduce the number of servers required in an organization.
사전적의미로는 서버 통합이다. 분산된 서버를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로 묶는 통합 환경이며, 중앙 집중식 컴퓨터 환경의 이점을 도입한 새로운 컴퓨팅 기법이다. 서버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관리비용을 절감하며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 이점이 있다.
3. Node
지역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와 그 안에 속한 장비들을 통틀어 하나의 노드라고 한다. 쉽게 말하면 같은 LAN을 쓰는 컴퓨터와 주변기기들이다. 사전적 의미는 이러하지만 보통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1개의 기기를 의미한다. (대게 컴퓨터 1대, 프린터 1개 등등...을 노드1개로 생각). 그러나 이것도 상황에 따라 조금씩 말이 바뀌기도 한다.
상황1) 동일한 네트워크임에도 TCP/IP를 통한 네트워크에 있어 'TCP/IP노드'가 의미하는 것은 IP 주소를가 할당된 기기 1개 1개 이다.
예: 루터를 이용해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외부의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최대 TCP/IP노드 수가 100이다. 이 경우 엄밀하게 허브 등 네트워크상에 있어 IP주소를 가지지 않은 기기에 관해서는 노드라고 할 수 없다.
상황2) 데이터 센터에서는 복수의 서버를 1대의 기기(멀티 노드 서버 등) 에 집약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때 서버를 의미하는 단위로써 "노드"라는 용어를 사용되기도 한다.
예: 이 멀티 노드 서버에서는 서버 노드를 최대 8노드 탑재할 수 있다.
D.O.N.E!!!

'Server의 세계 > Oracle 관리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ck Synchronization (Feat.Observer mode, CTSS daemon) (0) | 2022.09.28 |
---|---|
LVM 정리, oracleasm disks 구성 간단 정리, partition 확인 (0) | 2022.09.26 |
[Oracle] Cache Fusion 이란? (RAC 구조/DB Buffer Cache와 관계) (0) | 2022.08.04 |
[Oracle] RAC(Real Application Clusters)란? (0) | 2022.07.25 |
[Oracle] LOCK과 MVRC 개념(feat. flashback)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