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VirtualBox 네트워크 연결한 다음 mobaXterm로 열기(Host-only, NAT, Bridged)

2022. 8. 9. 15:01Server의 세계/Network

연결하기 전에 알아야할 개념이 있다. 바로 host IP와 NAT 그리고 Bridged이다.


가상 네트워크 구성 

-VirtualBox, VMware 같은 가상 프로그램을 사용해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호스트는 실제 사용되어지는 PC를 의미한다.

-가상머신은 호스트PC 내에 구축된 PC를 의미한다.

 

가상네트워크의 종류 

-Host-Only: 외부와 단절된 내부 네트워크 구축하는 것으로 내부 가상머신들끼리만 통신이 가능하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호스트PC로부터 IP를 할당 받아 가상머신 프로그램이 자체 DHCP 서버를 띄워 내부 네트워크 대역 할당 및 통신을 한다. 호스트 PC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가상머신과 1대1 매칭. 가상머신과 외부를 연결해주기 위해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가상머신 네트워크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을 Nat network라 한다.

-Bridge: 공유기로부터 IP를 할당 받아, 호스트PC와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의 IP를 갖게 된다. 공유기를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 

출처 : developerin.tistory.com

(파란색 선은 Bridged와 통일 네트워크 대역이다.)

네트워크 어댑터를 추가하면 한 대의 가상머신에서 여러개의 네트워크 대역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Virtual Muchine을 통해 구현해볼 가상 네트워크 모습이다.

포트포워딩을 통해 Host-only로 구성된 내부 네트워크 내 가상머신4에 NAT 연결선을 추가한 후 가상머신4를 게이트웨이로 사용하면 가상머신 1,2,3에서도 외부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다.

 


1. Virtualbox에서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 →[ 만들기  → 수동으로 어댑터 설정 체크 → IPv4 (192.168.55.1) /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으로 설정 후 적용 클릭 

DHCP 서버 쓰는 이유는 잘 모르겠다. 여기 초기 OS 설정을 그렇게 해

2.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네트워크 연결]에서 네트워크 설정과 맞는 지 확인

 

2. 해당 OS 클릭한 후 [설정] → [네트워크] →  [어뎁터1]에는 호스트 전용 어댑터로 해당 Host-Only Ethernet Adapter 적용,  [어뎁터2]에는 NAT 설정 후 확인 클릭 -> 설정 닫기

※어뎁터2에 NAT로 설정 안했더니 static ip가 아닌 dhcp 쪽 ip로 바뀜

dhcp로 적용되는 이유는 Profile_1 파일안에 내용 때문인걸로 추측됨. 자꾸 저 파일이 읽혀지네. 이상하게.....

 

3. 해당 OS 실행하여 오른쪽 상단 클릭하여 설정 클릭

4. Address 에 이더넷 IPv4주소, 서브넷 마스크, Gateway 입력

5. 네트워크 설정

1)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2) vi ifcfg-enp0s3

 

3) NAME=enp0s3

ONBOOT=yes

IPADDR=192.168.55.140

GATEWAY=192.168.55.2

하고 wq! 로 저장 한 뒤 다시한 번 확인

4) systemctl network restart

5) systemctl restart network

 

6. cd /etc/ssh

ls -al

한 뒤, vi sshd_config 에서 PermitRootLogin yes 부분에 #을 해제해준다.

(root로 login 가능하게 하려고)

6)ping 구글 DNS 서버 IP주소를 입력하여 응답하는지를 정검한다.

ping 8.8.8.8

 

 

ping 이 되면 puTTY, mobaXterm, Xshell 등등... 다른 SSH터미널 프로그램에서 모두 열 수 있다.

 

 

7) mobaXterm을 연다. 

 

 

8) 파일이 잃혀지고 명령창이 열린다.

 

 

 

-정리 -

1.내 컴퓨터 상황에 맞게 VM에 HOST-ONLY 를 설정해주고 OS에 해당 HOST-ONLY 를 지정한다.

2. Port forwarding을 통해서 NAT, HOST-ONLY 설정을 해주는데, virtual box입력내용과 linux 의 network-scripts/ifcfg-ec01 내용이 같은지 확인.

3.(옵션) ssh 터미널에서 root 로그인의 경우 sshd-config 에서 permissionrootlogin yes를 설정해줘야 한다.


D.O.N.E!!!!

'Server의 세계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C 구조] Public IP/ Private IP/ Scan IP  (0) 2022.08.16